모바일 앱의 리인게이지먼트는 과거에 앱을 이미 설치한 유저의 앱이 재사용 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인게이지먼트는 리타깃팅이 성공했음을 의미합니다. 리타깃팅 캠페인은 제품의 기존유저를 타깃하여 해당 제품에 다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캠페인입니다.
Singular 어트리뷰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Understanding Singular Mobile App Attribution을 참고하세요.
트러블슈팅
리인게이지먼트 (리타깃팅) 캠페인이 제품의 기존유저를 목표로 하지만, 몇몇 인스톨(즉, 신규 유저)에 의해 발생된 캠페인들도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Singular에서 정의하는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re-engagement event)"와 "인스톨"의 테크니컬한 의미 차이에 기인합니다. Singular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앱이 인스톨된 적이 없다고 인식되는 디바이스에서 첫 세션이 발생했을 때, 캠페인 유형이 리인게이지먼트/리타깃팅이어도 첫 세션은 인스톨로 카운트됩니다.
이런 현상은 트래커를 통해 가져온 리인게이지먼트와 네트워크에서 가져온 데이터 (리타깃팅 캠페인 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사이의 불일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자가 기여 네트워크 (SANs) 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acebook이 캠페인을 리타깃팅 캠페인으로 표시하지 않으나, 캠페인에 어트리뷰션되는 특정 세션을 캠페인의 리인게이지먼트로써 주장한 경우가 있습니다.
FAQ
용어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의 리인게이지먼트(re-engagement)는 과거에 앱을 인스톨 했던 유저에 의해 앱이 재사용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인게이지먼트는 리타깃팅 캠페인의 성공적인 결과를 의미합니다. 리타깃팅 캠페인은 제품의 기존유저를 타깃하여 해당 제품에 다시 관심을 갖게 유도하여 재사용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입니다.
Singular에서 리인게이지먼트는 기존에 사용했던 앱에서 일정한 비활성화 기간 이후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을 통해 유저가 해당 앱을 다시 오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Singular는 만약 다음 상황에서 유저를 리인게이지먼트로 카운트합니다:
- 과거에 앱을 사용한 이력이 존재
- 일정한 기간 동안 앱 사용을 중지
-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
- 앱 오픈
Singular가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라고 인식하면, 해당 인게이지먼트를 발생시킨 파트너 네트워크에게 어트리뷰션하기 위한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 과정을 작동시킵니다.
리인게이지먼트는 메트릭으로써 Singular가 앱 인스톨을 추적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적되며, 해당 값은 리포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How do I configure a Singular Link for re-engagement/retargeting?
Singular가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라고 인식하면,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 과정을 작동시킵니다. 이는 인스톨 어트리뷰션과 비슷한 방식으로 동작되며, 해당 인게이지먼트를 발생시킨 파트너 네트워크에게 공을 돌리는 것이 목적입니다.
Singular가 한 유저에 대한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을 수행한 후 발생하는 구매나 레벨 업과 같은 인 앱 이벤트들은 첫 앱 인스톨을 발생시킨 매체가 아닌 리인게이지먼트를 발생시킨 매체에 어트리뷰션됩니다.
뒤에서는 어떤 작업들이 수행되나요? 트래커가 Singular에게 보고하는 각 인스톨과 리인게이지먼트에는, 마지막 클릭 시간과 해당 컨버전이 인스톨인지 리인게이지먼트인지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Singular는 이 정보와 Singular SDK에 의해 보고된 인스톨 일시를 종합하여 보고된 컨버전이 인스톨인지 리인게이지먼트인지 결정합니다.
비활성화 윈도우(inactivity window) 또는 비활성화 기간(inactivity period)은 리인게이지먼트 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유저가 해당 앱을 사용하지 않고 얼마나 오랜 기간이 경과되어야 하는지 기준이 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비활성화 윈도우는 7일입니다. 즉, 7일 내 유저가 앱을 사용하고 리타깃팅 캠페인을 클릭했다면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은 발현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각 앱에 대한 비활성화 윈도우는 Settings > Apps에서 설정하세요.
예를 들어, 비활성화 윈도우가 7일이라면, 유저는 적어도 7일 동안 비활성화 상태여야 하며 그 이후 리타깃팅 캠페인 광고를 클릭하여 앱을 오픈해야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로써 카운트됩니다.
상황 | 비활성화 윈도우 기간 | 유저 비활성화 기간 | 결과 |
A | 7일 | 8일 | 매체에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 어트리뷰션 발현 |
B | 7일 | 4일 | 매체에 어트리뷰션되지 않음 |
참고: 테스트 디바이스 (Testing Console에 추가한 디바이스)는 비활성화 윈도우에서 제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Using the Testing Console을 참고하세요.
Singular에서는, 리타깃팅(retargeting)은 캠페인이 "리타깃팅 캠페인"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디멘션입니다.
리타깃팅 캠페인이란 제품의 기존유저들을 타깃하여 해당 제품에 다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캠페인입니다.
일반적으로, 리인게이지먼트는 성공적인 리타깃팅을 의미합니다.
팁: 모든 매체가 캠페인이 리타깃팅 캠페인인지를 나타내는 표식을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의 경우, 몇가지 표식 (예, 캠페인의 목적/오브젝티브)를 평가하여 해당 캠페인이 리타깃팅인지 아닌지 표시합니다. 가끔씩 리타깃팅 표식은 어트리뷰션 트래커에서 가져와질 수도 있습니다. Singular에서는 적어도 매체 또는 트래커 중 한 소스로부터라도 리타깃팅이라고 보고된다면 캠페인을 리타깃팅으로 표시합니다.
Singular에서, "리타깃팅"은 앱의 기존유저들을 타깃 하는 캠페인 유형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리타깃팅은 각 캠페인이 리타깃팅으로 설정되었던 것인지 아닌지를 세분화하도록 리포트에서 추가할 수 있는 디멘션(세분화)입니다.
반면에, 리인게이지먼트는 해당 날짜 내 각 앱, 캠페인, 매체 당 리인게이지된 유저를 나타내는 메트릭입니다.
Singular에서 리텐션은 컨버전 이후 얼마나 오랫동안 유저들이 제품을 사용했는지를 측정하는 값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간을 두고 앱에 대해 "Retention 7d"을 추가해 리포트를 생성하면,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해당 기간 동안 앱을 인스톨한 후 7일 후에도 해당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표시합니다.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는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규 컨버전으로 카운트되기 때문에, 실제로 해당 유저에 대한 리텐션 카운터를 초기화합니다.
Retention FAQ를 참고하여 더 많은 정보를 참고하세요.
리인스톨은 앱을 삭제한 후 다시 인스톨 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 동작이 리인게이지먼트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다른 유저 세션들같이, 리인스톨 후 첫 세션은 유저가 필요한 비활성화 윈도우 기간만큼 비활성화였는지와 해당 세션이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한 후에 발생한 세션인지에 기반하기 때문에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 Apple Search Ads에서 운영되는 캠페인들은 이 룰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Apple Search Ads는 리인스톨과 리인게이지먼트를 같이 보고하므로, Singular 리포트에서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 수가 리인스톨 수를 포함합니다.
리인게이지먼트에서 어트리뷰션 룩백 윈도우는, 리타깃팅 캠페인의 클릭이 리인게이지먼트 세션인지 아닌지를 결정할 때 얼마나 오랜 기간을 기준 삼을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파트너 컨피규레이션(Partner Configuration)페이지에서 파트너를 설정할 때, 어트리뷰션 룩백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윈도우가 인스톨 어트리뷰션과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에 적용됩니다.
트래킹 링크를 생성할 때, 파트너에 대한 기본사항으로 설정된 어트리뷰션 윈도우를 오버 라이드할 수 있고 각 링크에 대해 상이한 윈도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ingular Links FAQ 참고)
리인게이지먼트 기간은 유저가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한 후 앱을 오픈한 날짜를 의미합니다.
사용
자가기여 네트워크(SANs)의 경우:
Facebook, Apple, Twtiter, Google과 같은 자가기여 네트워크는, 기본 사항으로 리인게이지먼트 추적이 활성화 되어있을 수 있습니다. 파트너 컨피규레이션(Partner Configuration)페이지에서 자가기여 네트워크에 대해 설정할 때, Enable re-engagement 옵션을 통해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비활성화 하기 전, 해당 파트너를 통해 운영중인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이 없는지 확인하세요.
다른 네트워크의 경우:
트래킹 링크 당 리인게이지먼트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Singular Link를 생성할 때 Attribution Settings를 펼친 후 Enable re-engagement tracking를 토글하세요.
트래킹 링크 설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Singular Links FAQ를 참고하세요.
리타깃팅 캠페인 성과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리포트에서 다음 필드를 추가하세요:
- 리타깃팅(Retargeting) 디멘션: 각 캠페인이 리타깃팅 캠페인이라 정의된 캠페인인지 나타냅니다.
- 리인게이지먼트(Re-engagements) 메트릭: 캠페인에 어트리뷰션 된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 수를 포함합니다.
참고: 가끔씩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이 아닌 캠페인에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예시 참고).
반대로, 신규 인스톨이 리타깃팅 캠페인에 어트리뷰션될 수 있습니다. 이는 캠페인 유형이 "리타깃팅"이어도 Singular에서 신규 디바이스(즉, Singular 데이터 베이스에 인식되지 않는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첫 유저 세션을 받아 이를 인스톨로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파트너와 내부 BI에 전송되는 리인게이지먼트 포스트 백은 인스톨과 이벤트 어트리뷰션 포스트 백에 사용되는 형식과 동일합니다.
리인게이지먼트 포스트 백의 경우, {IS_RE_ENG} 매크로가 인스톨과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며, 관련 타임스템프 필드가 인스톨 이벤트 대신 리인게이지먼트 이벤트에 적용됩니다. 포스트 백 필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Postback Macros and Passthrough Parameters를 참조하세요.
유저 당 리인게이지먼트 횟수에는 제한이 없습니다.
심화 질문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은 인스톨 어트리뷰션 과정과 비슷하지만, 몇가지 다른점이 있습니다. 다음을 참조하세요.
인스톨 어트리뷰션 |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 | |
발생 지점(Trigger) | Singular 시스템에 인식된 적 없는 디바이스로부터 첫 유저 세션이 발생했을 때 | 비활성화 윈도우 기간 이후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하여 유저 세션이 발생했을 때 |
어트리뷰션 방법(Attribution method) | 결정론적 방법Deterministic (Android+Apple) + 확률론적 방법 Probabilistic (Android의 경우만 해당) |
결정론적 방법(Deterministic)만 가능. Singular는 디바이스 식별자(디바이스 ID)가 있는 경우나 앱이 싱귤러 딥링크(Singular Links FAQ 참고)를 통해 앱이 오픈되었을 때에만 리인게이지먼트를 수행 합니다. |
컨버전 유형(Conversion Type) | 클릭 스루 (클릭 기반 트래킹 링크)와 뷰스루 (노출 기반 트래킹링크)를 지원 | 클릭스루 트래킹 링크만 지원 |
각 유저 세션에 대해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첫 세션이 아닌 경우, Singular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 합니다:
- Singular는 앱에 정의된 비활성화 윈도우를 참고하여, 해당 기간 동안 유저가 활성화된 적이 있는지 확인됩니다.
- 유저가 해당 기간 동안 계속 비활성화였다면, Singular는 터치 포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한 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광고 캠페인이 리타깃팅 캠페인으로써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Singular tracking link를 생성할 때 Enable re-engagement tracking 버튼을 토글 하여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모든 파트너 매체들이 리인게이지먼트 캠페인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 Self-Attributing Networks (SANs)의 경우 Singular 트래킹 링크 사용을 지원하지 않아 Singular가 세션 정보를 매체에 전송하고 유저가 해당 매체 내 관련 리타깃팅 광고를 클릭했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돌려받습니다.
Singular 내에서 해당 세션 전에 리타깃팅 광고를 여러번 클릭한 것으로 인식하면, 마지막 터치 어트리뷰션 모델에 기반하여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션을 수행합니다.
참고: 자가기여 네트워크마다 특정 클릭이 리타깃팅 클릭인지 카운트 할 때 다른 기준이 있을 수 있으며, 자가 기여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다룬다는 것은 Singular가 파트너 리포트 내용을 그대로 수렴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예를 들어, Facebook측은 유저 리텐션 기간이 6개월 입니다. 이는 앱 인스톨으로부터 6개월 후 Facebook측은 해당 인스톨을 더 이상 보관하지 않는다는 의미고, 리타깃팅 광고가 아닌 유저 유입 광고를 통해 동일한 유저를 다시 타깃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동일 유저가 그러한 광고를 클릭하면, 후에 Singular가 Facebook으로부터 리타깃팅 클릭을 쿼리할 때, Facebook측에서는 리타깃팅 클릭이 있었다고 보고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비 자가기여 네트워크의 경우:
- 유저가 리인게이지먼트가 활성화된 트래킹링크를 생성합니다 (파트너가 리인게이지먼트를 지원하는 파트너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 Singular는 유저 세션을 받아 이전에도 동일 디바이스로부터 세션을 받았는지 확인합니다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 첫 세션이 아닌지 확인)
- Singular는 해당 세션이 비활성화 윈도우 기간을 초과하여 발생했는지 확인합니다 (즉, 이전 세션이 7일전에 발생했었는지, 또는 앱에 설정한 비활성화 기간을 초과하여 발생했는지 확인). 만약 그렇다면, 이를 리인게이지먼트로 표시합니다.
- Singular는 이후 어트리뷰션 과정을 수행하며, 리인게이지먼트 트래킹 링크를 클릭한 클릭들을 매칭하기 시작합니다.
- If Singular가 리인게이지먼트를 어트리뷰션할 수 있었다면, 이벤트 (클릭)은 retargeting = true로 표시합니다. 이는 동일한 캠페인에 대해 retargeting = true 또는 retargeting = false 데이터 행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리인게이지먼트인 경우, 이는 모두 retargeting = true 데이터 행에 매핑됩니다.
자가기여 네트워크 (SAN)의 경우:
- 각 세션에 대해, 자가기여 네트워크(SAN)에게 자세한 정보들을 전송합니다.
- 자가기여 네트워크는 해당 세션이 해당 자가기여 네트워크(SAN)에게 속하는 세션인지 아닌지를 반환합니다.
-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 세션이 첫 세션이었다면, Singular는 이를 신규 인스톨로 인식합니다. 만약 세션이 첫 세션이 아닌것으로 인식되면, 리인게이지먼트로 인식합니다.
- 하지만, Singular가 자가기여 네트워크(SAN)의 인스톨을 처리하는 방법과 비슷한 이유로, 자가기여 네트워크(SAN)의 주장을 오버라이드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자가기여 네트워크(SAN)가 보고해온 클릭이 Singular에 설정된 룩백윈도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나, Singular에서 확인 시 다른 클릭이 유저 세션과 관련이 있고 자가기여 네트워크(SAN)가 보고해온 클릭보다 더 마지막에 발생한 클릭(즉, 더 최근의 클릭)을 발견하는 경우입니다.